분류 전체보기 썸네일형 리스트형 The Three 1만의 법칙(2)- 1만보의 법칙 이번주는 지난주에 이어 “The Three 1만의 법칙”의 두 번째로 1만보의 법칙을 소개드립니다. ⓶ 1만보의 법칙 지난주 1만시간의 법칙에서 전문가다운 전문가가 되기 위해서는 하루 3시간씩 최소한 10년이상을 목적 의식있는 연습을 해야 한다고 했습니다. 그런데 이런 목적 의식있는 연습에 매일 3시간씩 몰입하기 위해서는 건강이 뒷받침되어야 합니다. 전문가는 건강을 유지해야만 제대로 된 전문가로 커나갈 수 있게 됩니다. 건강유지를 위한 실행의 방법론이 바로 1만보의 법칙입니다. 하루 1만보이상을 반드시 걷고 그 이상의 건강 유지를 위한 운동을 생활화해야 한다는 것이지요. 그런데 작심삼일이라고 년초에 매일 1만보를 걷겠다고 다짐해 보건만 그 실행은 쉬운일이 아닙니다. 따라서 1만보 법칙을 실천하기 위해서는.. 더보기 The Three 1만의 법칙 4차산업혁명시대의 전문가다운 전문가가 되기 위한 방법론이자 도구로서 “The Three 1만의 법칙”을 간략히 소개드립니다. 오늘날은 전문가들의 전성시대입니다. 상아탑의 교수가 그렇고 각종 전문 자격증을 활용하여 업역 확장에 나서는 전문직들이 넘치고 넘칩니다. 그들은 전문가임을 자처하며 국가사회에서 발언권을 높이고 있습니다. 산업화시대의 지식의 세분화 현상에 따라 파편화된 분야별 전문지식으로 무장한 전문가들이 등장하여 국가사회의 성장과 발전을 주도했습니다. 그런데 4차산업혁명의 거대 물결이 몰아치면서 이러한 분야별 전문지식이나 정보 그리고 한정된 경험과 사례로서는 융복합 문제해결에 한계에 봉착했습니다. 오히려 빅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인공지능과 기계가 인간의 전문지식을 대체하여 융복합 문제해결에 활용되는.. 더보기 중소기업정책개발원 KISME 그 역사적 항해를 시작하다. 뜻을 함께하는 동지들과 함께 2019. 12. 30일에 “(사)중소기업정책개발원(KISME)”을 창립하여 중소벤처기업부의 정식 허가를 받고 법원 등기와 사업자 등록을 마치고 2020년 2월1일부터 본격 활동을 시작했습니다. 그 핵심 후속 실행 행동으로 “중소기업 살리기”와 “중소기업 사랑하기”를 위한 방법론지식을 소개해 드리고자 합니다. 정부에서 30여 년을 일했는데 주로 산업, 기술, 무역, 중소기업 분야에 특화했습니다. 특히 고위공무원으로 공직을 마무리할 때는 중소기업청에 있었습니다. 11년 전 무의지로 퇴직하기까지 한국 중소기업의 글로벌 일류화에 필(feel)이 꼿혔습니다. 그래서 중소기업 정책의 현장 적합성을 높이기 위해 새로운 아이디어를 내고 실행하고자 매진했습니다. 그 결과로서 “9988-23.. 더보기 이전 1 2 3 4 다음